연이어 수돗물 문제가 터져 나오고 있다. 지난 달 강화를 비롯한 인천시에서 발생한 붉은수돗물(적수) 사태로 크게 홍역을 치렀는데 또다시 방사능으로 오염된 수돗물 문제가 터진 것이다.
지난 7월 9일 KBS는 강화군 양도면의 한 마을에서 우라늄이 기준치 이상으로 검출되었음에도 계속 식수로 사용되고 있는 실태를 보도했다.

이에 대해 인천시 상수도사업본부는 “방사능 수치가 부적합으로 나와 해당 마을상수도 관리자에게 공지했고, 주민들이 전기료 부담 등으로 정수처리시설을 사용하지 않아 발생한 문제이다. 주민들이 동의하지 않으면 마을상수도를 직권으로 폐쇄할 수도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강화수도사업소로부터 받은 자료에 의하면 2014년부터 해당 마을상수도는 지속적으로 우라늄이 기준치 이상으로 검출되었고, 정수처리시설을 가동했을 때는 기준치 이하가 되어 인천시의 주장을 뒷받침 한다.
하지만, 주민들이 정수처리시설을 가동 안 해 문제가 발생했다는 인천시의 해명에는 문제가 있다. 마을상수도 관리자 A씨는 본지와의 통화에서 “정수처리시설을 사용하게 되면 물의 양이 급감해 주민들이 불편해 했다. 꼭 전기요금이 비싸기 때문에 사용 안한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또한 마지막으로 방사능 수치가 적합으로 나온 2017년 6월 이후 지금까지 적어도 7회 이상 수질검사가 진행됐지만, 모두 부적합으로 나왔음에도 형식적인 조치만 했을 뿐 정수처리시설 가동 등 다른 조치나 대책을 마련하지 않았다.
강화수도사업소는 11일 마을주민들과의 긴급 협의를 통해 지방상수도 공급이 완료되기 전까지 마을에서 동의할 경우 마을상수도 물탱크에 지방상수도를 연결하여 8월말까지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대책을 내놓았다.
대책이 없지 않음에도 중앙언론에서 보도되어 크게 여론화되자 부랴부랴 뒷북행정을 펼친 것이다.
한편, 이 마을은 총 152세대 중 마을상수도를 사용하는 주민은 91세대이고 지방상수도 공급이 완료된 가구는 27세대이다. 하지만 완료된 27세대 중 대부분이 지방상수도를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 왜냐하면 가정까지 연결하는 수도공사가 이뤄지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 마을 주민은 “대부분이 어르신들이어서 어떻게 업체를 섭외해서 공사를 해야 하는 지 잘 모른다. 기왕 공사를 진행하는 김에 가정까지 연결해 주고 비용을 더 받던지 하면 좋을 텐데 아쉽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강화수도사업소 담당자는 “법적으로 계량기까지만 설치하게 되어있고 사유지 부분은 개인이 하도록 되어 있어 어쩔 수 없다”고 밝혔다.
한편, 이 문제와 관련하여 강화군은 "자체적으로 수질검사 의뢰를 진행하고 있으며, 강화수도사업소와 업무 협의를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안내>
강화뉴스를 좀더 편하고 빠르게 접하실 수 있도록 카톡으로 뉴스를 보내드리고 있습니다.
원하시는 분들은 아래 링크를 클릭하여 들어오셔서 '친구추가'해 주시기 바랍니다.
http://pf.kakao.com/_xeUxnGC